본문 바로가기

무선이동통신 (LTE, 5G)

LTE 주파수 밴드 정리

3GPP 규격에서는 LTE를 위하여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대역과 TDD(Time Division Duplexing) 대역을 정의하였다. FDD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분리되기 때문에 한 쌍의 주파수 대역(paired band)이 정의된 반면, TDD는 동일한 주파수 내에서, 시간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분리되기 때문에 하나의 주파수 대역(unpaired band)으로 정의된다. 국내 이동통신사에서는 FDD 방식의 LTE만 사용하는데, 밴드 1, 3, 5, 7, 8 등이 주로 사용된다. 아래 설명에서의 주파수 대역표는 Release 13을 기준으로 한다.

FDD와 TDD 방식 설명

LTE paired 대역 (FDD 대역)

대역 상향링크 범위 (MHz) 하향링크 범위 (MHz) 대역폭 (MHz) 주요 지역
1 1920-1980 2110-2170 60 유럽, 아시아
2 1850-1910 1930-1990 60 아메리카, 아시아
3 1710-1785 1805-1880 75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4 1710-1755 2110-2155 45 아메리카
5 824-849 869-894 25 아메리카, 아시아
6 830-840 875-885 10 일본
7 2500-2570 2620-2690 70 유럽, 아시아
8 880-915 925-960 35 유럽, 아시아
9 1749.9-1784.9 1844.9-1879-9 35 일본
10 1710-1770 2110-2170 60 아메리카
11 1427.9-1447.9 1475.9-1495.9 20 일본
12 698-716 728-746 18 미국
13 777-787 746-756 10 미국
14 788-798 758-768 10 미국
17 704-716 734-746 12 미국
18 815-830 860-875 15 일본
19 830-845 875-890 15 일본
20 832-862 791-821 30 유럽
21 1447.9-1462.9 1495.9-1510.9 15 일본
22 3410-3490 3510-3590 80 유럽
23 2000-2020 2180-2200 20 아메리카
24 1626.5-1660.5 1525-1559 34 아메리카
25 1850-1915 1930-1995 65 아메리카
26 814-849 859-894 35 아메리카
27 807-824 852-869 17 아메리카
28 703-748 758-803 45 아시아/Pacific
29 - 717-728 11 아메리카
30 2305-2315 2350-2360 10 아메리카
31 452.5-457.5 462.5-467.5 5 아메리카
32 - 1452-1496 44 유럽
65 1920-2010 2110-2200 90 유럽
66 1710-1780 2110-2200 70 아메리카
67 - 738-758 20 유럽

 

LTE unpaired 대역 (TDD 대역)

대역 링크 범위 (MHz) 링크 대역폭 (MHz) 주요 지역
33 1900-1920 20 유럽, 아시아 (일본 제외)
34 2010-2025 15 유럽, 아시아
35 1850-1910 60 -
36 1930-1990 60 -
37 1910-1930 20 -
38 2570-2620 50 유럽
39 1880-1920 40 중국
40 2300-2400 100 유럽, 아시아
41 2496-2690 194 미국
42 3400-3600 200 유럽
43 3600-3800 200 유럽
44 703-803 100 아시아/Pacific
45 1447-1467 20 아시아 (중국)
46 5150-5925 775 전세계


주파수 밴드에 따른 몇가지 특징들

  • 밴드 1, 33, 34는 3GPP Release 99에서 UTRA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에 대하여 최초로 정의된 paired 및 unpaired 대역으로, 2 GHz 코어 대역이라고도 불린다.
  • 밴드 15와 밴드 16은 유럽에서의 할당을 위해 유보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밴드 29, 32, 67은 상향링크 없이 하향링크만 정의된 paired 대역으로, 이 대역들은 다른 대역의 하향링크 반송파들과 함께 반송파 결합 (Carrier Aggregation, CA)을 위한 것이다.
  • 밴드 65는 유럽에서 사용하기 위한 밴드 1을 2 X 90 MHz로 확장한 것이다.
  • 밴드 66은 2 X 70 MHz의 paired 대역에 하향링크 20 MHz를 추가한 것으로, 이는 또 다른 하향링크와의 CA에서 보조 하향링크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참고자료
- Erik Dahlman 등, 『4G LTE 프로부터 5G Road까지』, 조봉열, 김진영 공역, 홍릉과학출판사

'무선이동통신 (LTE, 5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무선 프로토콜 기본 구조  (0) 2022.09.30
LTE 코어 (EPC)의 기본 구조  (0) 2022.09.25
LTE EARFCN 이란?  (0) 2022.09.11
LTE 프레임의 자원 구조  (0) 2022.08.20
CU/DU/RU의 구분  (0) 2022.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