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선이동통신 (LTE, 5G)

(7)
LTE PDCP 프로토콜 앞선 포스팅(LTE 무선 프로토콜 기본 구조)에서 LTE 무선망 프로토콜 구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오늘은 LTE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LTE PDCP의 기본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다. Sequence Numbering IP 헤더 압축 암호화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무결성 보호 IP 헤더 압축 PDCP는 IP 헤더 압축을 수행하여 전송할 비트 수를 줄인다. 헤더 압축 알고리즘은 다른 여러 이동통신 기술에도 사용되는 ROHC (RObust Header Compression)을 기반으로 한다. IP 헤더 크기는 IPv4의 경우 20-60 바이트, IPv6의 경우 (Extention Header가 없는 경우) 40 바이트이다. "패..
LTE 무선 프로토콜 기본 구조 LTE 무선망(Radio Access Network, RAN)은 각각의 QoS (Quality-of-Service) 요구 사항을 가진 IP 패킷들에 대하여 하나 혹은 복수 개의 무선 베어러 (radio bearer)를 제공한다. 이 때 무선 베어러란, 무선망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일컫는 용어이다. LTE 네트워크의 트래픽 흐름은 사용자 평면 (user plane)과 제어 평면 (control plane)으로 나뉜다. 사용자 평면 (user plane) :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되는 프로토콜 평면 제어 평면 (control plane) : 제어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데이터가 전송되는 프로토콜 평면 LTE 무선망 프로토콜 사용자 평면인지, 아니면 제어 평면인지에 따라 거치게 되는 프로토콜..
LTE 코어 (EPC)의 기본 구조 3GPP의 4세대 무선 이동 통신 규격, LTE에 들어오면서 flat한 RAN (Radio Access Network) 구조 및 새로운 코어망 구조인 Evolved Packet Core (EPC)가 만들어졌다. LTE RAN과 EPC를 합하여 Evolved Packet System (EPS)이라고 부른다. RAN은 스케줄링, 무선 자원 관리, 재전송, 채널 코딩 및 다중 안테나 방식 등과 같은 무선에 관련된 모든 기능을 담당한다. EPC는 인증, 과금, end-to-end 연결 형성과 같이 전체적인 광대역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Evolved Packet Core, EPC 아래 그림 1은 EPC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EPC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노드로..
LTE EARFCN 이란? 앞서 올린 포스팅(LTE 주파수 밴드 정리)에서 설명한 LTE 밴드보다 더 세부적인 개념으로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이 사용된다. EARFCN은 LTE에서 사용하는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채널을 번호로 나타낸 것이다. EARFCN 계산식 Downlink 및 Uplink에 대한 EARFCN을 계산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F_{DL}=F_{DL\_low}+0.1 ( N_{DL} - N_{Offs-DL} )$$ $$F_{UL}=F_{UL\_low}+0.1 ( N_{UL} - N_{Offs-UL} )$$ 이때, 각 문자의 뜻은 아래와 같다. 문자 용어 $F_{DL}$ Downlink 반송파 (중심) 주파수 $F_{DL..
LTE 주파수 밴드 정리 3GPP 규격에서는 LTE를 위하여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대역과 TDD(Time Division Duplexing) 대역을 정의하였다. FDD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분리되기 때문에 한 쌍의 주파수 대역(paired band)이 정의된 반면, TDD는 동일한 주파수 내에서, 시간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분리되기 때문에 하나의 주파수 대역(unpaired band)으로 정의된다. 국내 이동통신사에서는 FDD 방식의 LTE만 사용하는데, 밴드 1, 3, 5, 7, 8 등이 주로 사용된다. 아래 설명에서의 주파수 대역표는 Release 13을 기준으로 한다. LTE paired 대역 (FDD 대역) 대역 상향링크 범위 (MHz) 하향링크 범위 (..
LTE 프레임의 자원 구조 LTE 데이터는 프레임이라는 형태로 전송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프레임(Frame)이 시간 영역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LTE 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LTE 자원 구조 3GPP 5G NR 규격에서는 Flexible Numerology라는 용어를 통해 여러 부반송파 간격을 지원하지만, LTE OFDM 부반송파 간격은 15 kHz이다. 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 (MBSFN) 기반의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을 목표로 만들어진 7.5 kHz의 부반송파가 있긴 하나, 여기서는 논외로 하겠다. 시간 영역에서의 LTE 자원 구조 시간..
CU/DU/RU의 구분 과거에는 기지국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DU (Digital Unit)와,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RU (Radio Unit)이 함께 셀 사이트에 설치되는 일체형 구조였다. 그러나 무선 이동 통신의 세대를 거듭할수록 한 기지국이 담당하는 셀의 크기가 작아지고, 기지국의 수가 급증하면서 좀 더 효율적인 기지국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부는 일종의 컴퓨터로, 전력 및 냉각 시설과 함께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지국마다 안전한 실내의 설치 장소를 마련해야 한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기지국 설치 비용만 해도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현재 국내에 설치된 LTE 기지국 수는 통신3사를 합쳐 약 100만 가까이 되므로, 만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