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GPP의 4세대 무선 이동 통신 규격, LTE에 들어오면서 flat한 RAN (Radio Access Network) 구조 및 새로운 코어망 구조인 Evolved Packet Core (EPC)가 만들어졌다. LTE RAN과 EPC를 합하여 Evolved Packet System (EPS)이라고 부른다.
- RAN은 스케줄링, 무선 자원 관리, 재전송, 채널 코딩 및 다중 안테나 방식 등과 같은 무선에 관련된 모든 기능을 담당한다.
- EPC는 인증, 과금, end-to-end 연결 형성과 같이 전체적인 광대역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Evolved Packet Core, EPC
아래 그림 1은 EPC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EPC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노드로 이루어지는데, 핵심적인 노드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다루는 노드. 단말에 대한 베어러의 연결과 해제, IDLE 상태에서 ACTIVE 상태로의 천이, 보안 키 관리 등을 담당.
- Serving Gateway (S-GW):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다루는 노드. 단말이 eNodeB 간, 또는 LTE와 타 3GPP 기술 간 이동시 이동성 앵커 역할 담당, 과금을 위한 정보 및 통계 수집 담당.
-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Gateway, P-GW): 인터넷 연결을 담당하는 노드. 특정 단말에 대한 IP 주소 할당, Quality of Service (QoS) 적용.
- Home Subscriber Service (HSS): EPC 가입자 정보를 저장.
참고자료
- Erik Dahlman 등, 『4G LTE 프로부터 5G Road까지』, 조봉열, 김진영 공역, 홍릉과학출판사
'무선이동통신 (LTE, 5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PDCP 프로토콜 (0) | 2022.10.30 |
---|---|
LTE 무선 프로토콜 기본 구조 (0) | 2022.09.30 |
LTE EARFCN 이란? (0) | 2022.09.11 |
LTE 주파수 밴드 정리 (2) | 2022.09.05 |
LTE 프레임의 자원 구조 (0) | 2022.08.20 |